문화유적 썸네일형 리스트형 김해시에 위치한 국가지정문화재 수로왕릉외 4종 제 목 국가지정문화재-사적-수로왕릉 사적번호 사적 제73호 위 치 김해시 가락로 93번길 26 사 진 상세내용 김해의 상징적 문화유적으로서 가락국의 시조대왕인 수로왕의 무덤으로 납릉 이라고도 합니다. 수로왕은 서기 42년 음력 3월 3일 구지봉에 탄강하여 3월 15일에 즉위함으로써 가락국을 건국하였고 서기 199년 3월 20일에 세상을 떠나 이곳에 묻혔습니다. 왕릉은 선조 13년(1580년)에 영남관찰사 허엽이 능을 수축하였으나 임진왜란 때 도굴되었다고 합니다. 그 후 인조 25년(1647년) 능비를 세우고 고종 15년(1878년)에는 숭선전이란 호를 내리고 침묘를 개축하여 지금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수로왕의 신위를 모신 숭선전에서 춘추로 제향을 올리고 있는데 숭선전 제례는 지방 무형문화재 제11.. 더보기 김해시 관내의 국가지정문화재-보물-선조국문교서외 3종 제 목 국가지정문화재-보물-선조국문교서 사적이름 보물 제951호 연 대 조선[선조] 위 치 경남 김해시 흥동 424(부산시립박물관 보관) 사 진 상세내용 선조 26년(1593) 임진왜란으로 임금이 피난하여 의주에 있을 적에 백성들에게 내린 한글로 쓴 교서입니다. 임진왜란 때 조선의 백성들은 포로가 되어 왜적에 협조하는 자가 많았습니다. 그 때문에 선조는 일반대중이 쉽게 알 수 있는 한글로 쓴 교서를 내려 포로가 된 백성을 회유하여 돌아오게 하였습니다. 이것은 선조가 한양으로 다시 돌아오기 한 달 전에 내려진 것인데 당시 김해성을 지키던 장수 권탁(1544~1593)은 이 문서를 가지고 적진에 몰래 들어가 적 수십 명을 죽이고 우리 백성 100여 명을 구해 나왔습니다. 그 후 이 교서는 권탁의 후손 집에서.. 더보기 김해시 문화유적 - 봉화산 마애불외 4종 제 목 도지정문화재-유형문화재-봉화산 마애불 사적번호 도유형문화재 제40호 연 대 고려시대 위 치 김해시 진영읍 장방로 136-200 사 진 상세내용 고려시대의 여래상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높이 2.48m 무릎높이 1.7m입니다. 광배는 없으나 균형 잡힌 콧등과 조그마한 입 어깨까지 늘어진 커다란 귀 등이 세련된 조형미를 보이고 있습니다. 한국의 전설이란 기록을 보면 당나라 황후의 꿈에 한 청년이 자주 나타나서 괴롭힘으로 신승의 힘으로 바위틈에 넣어서 김해 땅 봉화산의 석불로 만들었다고 하는 전설이 있어 흥미를 더하고 있습니다. 제 목 도지정문화재-유형문화재-능동석인 및 상석 사적번호 도유형문화재 제71호 연 대 위 치 김해시 삼문동 산 49-2 사 진 상세내용 현지에서는 가락국의 왕릉이라고도 하고 혹은 .. 더보기 김해시에 있는 문화유적지 - 구지봉외 4종 제 목 국가지정문화재-사적-구지봉 사적번호 사적 제429호 연 대 신라 위 치 구산동 산 81-2번지 사 진 상세내용 이곳은 신라 유리왕 19년(42년)에 하늘에서 6개의 황금알이 담긴 금 상자가 내려오고 그 알 속에서 김수로왕을 비롯한 6가야의 시조 왕들이 태어났다는 전설이 남아 있는 곳으로 가야문화의 출발지 이자 고대 국문학상 중요한 서사시인 "구지가"가 남아 있는 곳입니다. 2001년 3월 7일 그 중요성을 인정받아 사적으로 승격 지정되었습니다. 원래는 거북이 머리 모양을 닮았다 하여 구수봉이라 불리었는데 현 수로왕비릉이 있는 평탄한 위치가 거북의 몸체이고 서편으로 쪽 내민 것이 거북의 머리모양입니다. 1908년 참봉 허선이 세운「대가락국 태조왕 탄강지지」란 석비가 있으며 석비의 남동쪽에 있는 지석.. 더보기 김해시 관내 위치한 문화재 - 은하사 대웅전외 4종 제 목 도지정문화재-유형문화재-은하사 대웅전 사적번호 도유형문화재 제238호 위 치 김해시 신어산길 167 사 진 상세내용 전설에 의하면 가락국 수로왕 때 장유화상이 창건한 사찰로 원래의 이름은 서림사였다고 합니다. 그러나 임진왜란 때 절 건물 전부가 불에 타 소실되었습니다. 현재의 건물은 다포계 양식의 맞배집으로 용두와 봉두를 새겨 놓아 화려하게 장식하였는데 이들 조각과 구조수법으로 보아 조선조 후기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대웅전의 수미단에 쌍어문양이 있어 인도 아유타국과의 관계를 전하고 있습니다. 제 목 도지정문화재-유형문화재-서강 김계금 일고책판 사적번호 도유형문화재 제352호 연 대 조선시대 위 치 김해시 진영읍 진영로 430-16 사 진 상세내용 조선전기의 유학자 서강 김계금 선생의 언행과.. 더보기 경남 김해시 문화재 - 서상동 지석묘외 4종 제 목 도지정문화재-기념물-서상동 지석묘 사적번호 도 지정기념물 제4호 위 치 김해시 가락로 108-7 사 진 상세내용 청동기시대의 전형적인 남방식 지석묘로 무덤의 주체는 땅 속에 마련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지석묘에는 돌칼 돌화살촉 무문토기 등의 유물이 출토되어 당시의 생활을 연구하는데 귀중한 자료로 제공되고 있습니다. 길이가 4.6m나 되는 큰 상석 위에는 임진왜란 당시 사충신의 한분인 송 빈 선생이 이곳에서 순절한 것을 기념하기 위한 비석이 세워져 있습니다. 제 목 도지정문화재-기념물-유하패총 사적번호 도 지정기념물 제45호 연 대 4~5세기 위 치 김해시 유하동 183번지 외 사 진 상세내용 하손부락 뒷산의 동남단에 형성되어 있는 유하패총은 가야시대 사람들이 조개를 잡아먹고 버린 조개껍데기 생선뼈 .. 더보기 김해 선사유적 - 대성동 소성유적 외 3종 제 목 문화유적-선사유적-대성동 소성유적 사적이름 선사유적 연 대 청동기 위 치 김해시 북부동(대성동)203, 204, 225-3 사 진 상세내용 김해 대성동 소성유적에서는 무문토기 말기에 해당하는 소성유적(燒成遺蹟)과 삼국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구(溝) 및 도로 소형 석곽묘 1기가 확인되었습니다. 특히 소성유구는 기원을 전후한 시기에 토기를 소성한 소성갱으로서 벽체 등의 상부구조나 일부 화구부가 예상됩니다. 그러나 유구의 삭평이 심하여 잔존상태가 양호치 못한데다가 주변 지역으로의 확장할수없어 유구의 정확한 성격을 규명하기가 힘든 상태입니다. 제 목 문화유적-사지-영구암지 사적이름 사지 연 대 미상 위 치 김해시 삼안동(삼방동) 산 14 사 진 상세내용 삼안동 산중턱에 세운 암자로서 수로왕 당시 창건한 .. 더보기 김해 유적지 - 봉황동 조개더미 외 2종 제 목 문화유적-조개더미-봉황동 조개더미① 사적번호 조개더미 연 대 원삼국 위 치 김해시 회현동(봉황동) 401 사 진 상세내용 봉황대(鳳凰臺)의 북쪽 기슭에 민가가 위치하고 있었는데 동서로 관통하는 도로가 개설되면서 지하의 패각이 노출되어 발견된 것입니다. 도로개설 당시 채집된 유물에 의하면 인접한 회현동조개더미와 동일 문화양상을 띠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즉 김해식토기라고 부르는 회청색 연ㆍ경질토기편과 적갈색 연ㆍ경질토기편 그리고 방추차 어망추 녹각재도자병 토재곡옥 소도자 탄화미 복골편(鹿角製刀子柄 土製曲玉 小刀子 炭火米 卜骨片)등이 그렇습니다. 패각의 퇴적층위는 주로 백합 껍질로 단순층으로 여겨지며 두께는 약 1.5m 정도입니다. 규모는 확실치 않으나 소규모인 것으로 추정된다. 유적은 출.. 더보기 이전 1 2 다음